도커를 설치해보시오.


ubuntu , mysql:5.7 , dokken/centos-7 , httpd 이미지 설치


해당 이미지들 이름은 차례로 os1 , mydb , centos7 , web1 , web2 로 httpd만 2개 container 실행

mysql 과 httpd 는 표준입력과 가상 터미널이 필요없기 때문에
docker run -itd --name os1 ubuntu:latest
docker run -itd --name centos7 dokken/centos-7
docker run -d --name mydb mysql:5.7
docker run -d --name web1 httpd
docker run -d --name web2 httpd
mysql:5.7 의 WorkingDir 확인

web1 과 web2 의 아이피 주소 확인

web2 container 종료 후 다시 시작해 볼 것

다음에는 ps 를 쫌 더 깔끔하게 보자.
docker container stop web2
docker ps | grep web2
docker container start web2
docker ps | grep web2
mysql:5.7 의 이미지를 container 까지 삭제하시오.

전체 container 확인

ubuntu와 centos 의 백업본을 만들고 기존 이미지 삭제 백업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다시 생성해보시오.


어차피 다시 로드할 예정이라 rmi -f 옵션을 사용했지만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낫다.
컨테이너에서 사용중인 이미지라면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다.
ubuntu 와 centos 다시 container 실행

container 들에 대한 상태확인하되 실시간이 아니도록 하시오

ubuntu에 분리모드로 접속해서 /var/log/ 의 내용을 보도록 하시오.


* 옵션을 사용했을 때는 로컬과 비교해서 출력해주는 듯 하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모름.

'도커 > 개념 및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장-1, 도커 네트워크 유형 (0) | 2021.06.02 |
---|---|
04장, 도커 볼륨 (0) | 2021.06.02 |
03장-3, 컨테이너 관리 (0) | 2021.06.02 |
03장-2, 컨테이너 실행 (0) | 2021.06.01 |
03장-1, docker 명령 - 이미지 다운로드 (0) | 2021.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