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IOS 정의
Cisco IOS란 Internetwork Operating System을 줄인 말로 Cisco 장비(Router, Switch)를 구동하는 운영체제를 말하며 Cisco IOS는 Routing, Switching, Qos, Security, Unified, Communication 등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프라 소프트웨어이다.
Cisco 장비의 구성요소
- CPU : RISC 기반 프로세스로 연산처리장비
- Memory : IOS와 Running-Config가 구동되는 주기억 장비
- Flash : IOS가 저장되어 있는 곳
- Interface : 네트워크 컨트롤러로 Ethernet, Serial 등의 Interface를 장착해서 사용
Cisco IOS Mode의 종류
Router >
유저모드 (User EXEC)
- 비 관리자 모드
- 일부 명령 실행
- 정보 보기 명령 수행
Router#
관리자모드 (Privileged Mode)
- 모든 명령 수행
- 설정, 구성 모드의 이전 단계
- 일부 설정과 정보 보기 명령 수행
Router(config)#
설정, 구성 모드(Global Configuration)
- 구성, 설정, 변경 수행 명령
- 라우터 전반에 영향을 주는 명령
Router(config-if)
특정장치, 서비스 설정 모드(Special Mode)
IOS command Line Interface
기본 설정
명령어 | 주석 |
---|---|
Router>enable | // Router # 관리자 모드로 접속 |
Router#configure terminal | // Router#(config) 모드로 접속 |
R1(config)#hostname R1 | // 호스트 네임을 R1으로 설정 |
R1(config)#enable password | // Router# 모드 비밀번호를 설정 |
R1(config)#enable secret | // Router# 모드 비밀번호를 암호화되게 설정 |
R1(config)#no ip domain-lookup | // end를 입력했을 시 도메인 서버에 질의하는 것을 생략 |
Serial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어 | 주석 |
---|---|
Router#configure terminal | // Router#(config) 모드로 접속 |
R1(config)#interface serial 0/1 | // 시리얼 0/1 포트로 접속 |
R1(config-if)#ip address 192.168.90.10 255.255.255.0 | // (게이트웨이?)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설정 |
R1(config-if)#encapsulation 프로토콜(ppp, hdlc) | // 인캡슐레이션 설정 |
(프로토콜 HDLC는 기본 설정이기 때문에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음) | |
R1(config-if)#bandwidth <1-10000000> | // 대역폭 설정 |
R1(config-if)#clock rate <300-4000000> | // 클럭 설정(DCE에서만 설정) |
R1(config-if)#no shutdown | // 인터페이스 활성화 |
FastEthernet 인터페이스 설정
명령어 | 주석 |
---|---|
Router#configure terminal | // Router#(config) 모드 접속 |
R1(config)#interface fastEthernet 0/0 | // fastEthernet 0/0 포트로 접속 |
R1(config-if)#ip address 192.168.1.254 255.255.255.0 | // (게이트웨이?)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설정 |
R1(config-if)#no shutdown | // 인터페이스 활성화 |
Console 설정
명령어 | 주석 |
---|---|
R1(config)#line console 0 | // Router(conf-line) 모드로 접속 |
R1(config-line)#exec-timeout 분 초 | // 콘솔 타임 설정 |
R1(config-line)#logging synchronous | // 내가 쓰고 있는 명령어를 아래에 계속 표시될 수 있게 동기화 |
R1(config-line)#password 비밀번호 | // 콘솔 비밀번호 설정 |
R1(config-line)#login |
Telnet 설정
line vty 0 4 (0 4는 Telnet의 가상 세션 0~4번까지 5개)
- 인증 없이 Telnet 접근 허용하기
(단, enable secret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어야 됌)명령어 주석 R1(config)#line vty 0 4 // Router#(config-line)모드로 접속 R1(config-line)#password 비밀번호 // Telnet 접근 비밀번호 설정 R1(config-line)#login - 사용자 이름과 암호로 사용하여 Telnet 접근 허용하기
명령어 주석 R1(config)#username 이름 R1(config)#line vty 0 4 // Router#(config-line)모드로 접속 R1(config-line)#password 비밀번호 // Telnet 접근 비밀번호 설정 R1(config-line)#login local
확인
명령어 | 주석 |
---|---|
R1#show running-config | // 이제까지 설정한 정보들을 확인 |
R1#show startup config | // NVRAM에 저장된 설정 파일 보기 |
R1#copy running-config startup-config | // RAM에 구동 중인 설정 파일을 NVRAM에 저장 |
R1#show ip interface brief | //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 |
R1#ping ip주소 | // 통신 여부 확인 |
R1#show ip route | //라우터 테이블 확인 |
기타
명령어 | 주석 |
---|---|
R1#write memory | // 재부팅 시 설정 자동실행 |
R1#erase startup-config | // 설정 자동실행 삭제 |
ctrl+z = end 명령 |
라우터 --- 라우터
- 같은 장비끼리는 크로스 케이블
라우터 --- pc
- 크로스 케이블
- 라우터에 들어가는 이더넷 카드가 pc에 들어가는 이더넷 카드랑 같은 종류이기 때문에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한다
pc --- pc
- 크로스 케이블
스위치 --- 스위치
- 크로스 케이블
라우터 --- 스위치
- 다이렉트 케이블
pc --- 스위치
- 다이렉트 케이블
'네트워크 > 라우팅,스위칭 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sco Router Routing Protocol 설정 - Default (0) | 2021.04.28 |
---|---|
Sisco Router Routing Protocol 설정 - Static (0) | 2021.04.26 |
멀티플렉싱 & 디멀티플렉싱 (0) | 2021.04.22 |
IPv4 데이터그램 단편화 (0) | 2021.04.22 |
MTU (0) | 2021.04.22 |